본문 바로가기

IT/Design Column

폰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한 벌의 폰트를 만들기까지


아마 누구나 한 번쯤은 나만의 글자체를 소망한 적이 있을 것이다. 폰트에 관심은 많지만 정작 폰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혹은 직접 폰트를 만들어보지는 못하더라도, 한 벌의 폰트가 어떻게 제작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고 싶었던 분들을 위해 폰트 제작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사용자 환경과 폰트 제작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폰트를 만드는 프로세스도 계속해서 진화하고 발전해오고 있다. 작업 초반의 과정은 완성형(‘한’, ‘글’처럼 완성된 글자 하나하나를 제작하는 것)이나 조합형(초성, 중성, 종성을 따로 디자인해 하나의 글자를 표현하는 것으로 1Byte 폰트라고도 부름) 모두 비슷하지만, 어느 정도 진행되면 다른 과정을 밟게 되는데, 여기서는 완성형을 기준으로 한 벌의 멋진 폰트를 만드는 제작과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①: 컨셉과 자료조사


본격적으로 폰트를 만들기에 앞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정확한 컨셉 잡기이다. 사용자의 변화에 따라 방송자막이나 인터넷 등의 디지털 매체, 잡지 광고나 소설책 표지와 같은 출판인쇄물, 간판이나 도로 표지판과 같은 옥외물 등 폰트가 쓰이고 있는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도 방송자막이나 게임용으로 활용되는 서체라면 출판인쇄용과는 다른 매체의 질감이나 환경을 고려해 디자인해야 하고, 본문용이나 제목용 중 더 많이 쓰이는 폰트의 크기에 맞춰 디자인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정확한 컨셉이 있다고 해서 폰트가 뚝딱 만들어지는 것은 아닐 터. 정해진 컨셉에 따라 그 글자의 분위기에 맞는 기존의 폰트나 로고타입(회사나 제품의 이름이 독특하게 드러나도록 만들어, 상표처럼 사용되는 글자체) 혹은 외국 자료(영문 폰트)들을 종합적으로 수집하는 자료조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초보 디자이너들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 지 암담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며, 자료조사는 기존 서체와 새로 만들 서체를 어떻게 차별화해 독특한 폰트로 만들어낼 것인가에 대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②: 짧은 단어 구성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폰트를 만드는 과정이다. 5~10자 정도의 특정한 글자를 로고타입처럼 레터링 하는데, 전체적인 분위기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시도를 해본다. 이 때 중복되는 글자가 없이 대표적인 자음과 모음이 골고루 들어가고, 표현하기 어려운 곡선이 적절히 섞이면 더욱 좋다. 특히 ‘ㅇ’꼴의 경우 사용 빈도수가 높아 전체 문장에서의 느낌을 좌우하므로 꼭 포함한다.


글자의 표정 또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데, 우선 구조적으로 네모틀로 할 것인지, 탈네모틀로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탈네모틀이라면 기준선을 어디에 둘 것인지, 무게중심은 어디에 둘 것인지, 세리프(활자 기둥의 양 끝을 맺는 돌출된 형태)를 넣을 것인지 등의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서체의 성격을 만들게 된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③: 문장 구성하기


같은 자음이나 모음은 카피해 활용하면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은 변형과 응용을 반복한다. 이 때 그 서체의 첫 느낌과 장점을 살리는 것이 필요하다. 글자를 이루는 요소와 여백, 공간들 간의 강약이나 분배를 얼마나 짜임새 있게 하느냐에 따라 매력적인 서체가 될 수 있고, 무미건조한 서체가 될 수 있다. 글자의 구도도 정확하게 판단해서 진행해야 하는데, 문장을 만들어보면 그 서체의 성공 여부가 어느 정도 판가름 난다고 볼 수 있다.

 


 



문장 작업이 완료되면, 거기에 없는 글자를 좀 더 만들어본다. 이왕이면 요소가 많고 구조가 복잡한 글자들을 미리 만들어보는 것이 좋은데. ‘뻘’, ‘를’, ‘꽐’, ‘홀’ 등과 같은 복잡한 글자나 종성이 ‘ㅎ’으로 끝나는 ‘믛’ 등을 작업하다 보면,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고, 처음에 작업했던 자모음을 수정해야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곡선 중에서도 ‘ㅅ’꼴의 경우, 초성에 쓰이 때와 종성에 쓰일 때 각각 어떻게 처리할지도 고민해야 한다. 완성형 낱자들을 한 자 한 자 작업할 때, 자음이나 모음의 모양을 약간씩 변형하지 않으면 시각적으로 불안정하게 보이는 글자도 생기기 마련. 특히 다양한 모양의 자음꼴에서 이러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데, 일정한 자폭을 유지하면서 굵기와 크기를 조화롭게 하는 작업은 고도의 집중력과 섬세한 감각이 요구되는 일이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④: 전체 글자 만들기

 





앞서 파생작업을 꼼꼼히 하고 나면, 전체 KS5601 코드에 맞추어 2,350자를 만드는 작업을 해야 한다. ‘가’부터 ‘힝’까지 사이에 비어 있는 글자를 통일감있게 만들어가는데, 숙련된 디자이너라 하더라도 한 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문에 일정을 계획적으로 잡아 차근차근 만들어가는 것이 좋다. 폰트 디자이너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꼽히는 끈기와 인내심이 가장 발휘되어야 할 순간이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⑤: 문장 테스트하기

 

 



전체 글자들이 만들어지면 TTF(트루타입 폰트)를 만들어 다양한 문장으로 출력한다. 이 과정을 통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어색한 글자 배열이나, 글자 크기와 굵기의 일정성을 확인해볼 수 있다. 세리프와 맺음, 꺾임 등의 형태 표현의 규칙들이 시각적으로 질서를 유지하면서 낱글자들과 단어끼리 서로 잘 어울리는지, 각 글자들의 속 공간과 바깥 공간의 배분은 적절한지, 글자 사이, 낱말 사이, 글줄 사이 등은 고른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글줄의 흐름은 매끄럽게 유지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런 디테일한 수정을 얼마나 꼼꼼하게 했는지에 따라 서체의 질이 확연히 달라진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⑥: 영자, 숫자 디자인하기

 


 



쓰이는 영자와 숫자의 디자인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법. 비슷한 영문 폰트를 찾아 참고할 수도 있지만, 한글 디자인에 맞춰 순수하게 창작하는 경우도 많다. 윤디자인연구소의 ‘사춘기’, ‘쿨재즈’, ‘러브레터’ 같은 폰트들이 그러한 경우다. 영문작업과 함께 부호나 특수문자도 작업한다.



폰트 제작 프로세스 ⑦: 조판 테스트하기


한 벌의 폰트를 놓고 자간이나 행간 등을 세심하게 검수하고 수정한다. 본문용 작업의 경우에는 작은 사이즈에서도 폰트끼리의 뭉침 없이 일정한 굵기를 유지해야 하고, 미세한 세리프들이 구현되어야 하므로 필름으로 출력해서 테스트하기도 한다.


조금은 복잡한 폰트 제작 과정,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흔히 쓸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폰트가 탄생하는 과정은 꽤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가는 편.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정체인 폰트를 더욱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