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DB] 개발방법론과 정보공학 개발방법론이란, 소프트웨어 공학의 원리를 소프트웨어 라이프 사이클에 적용한 개념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작업활동, 절차, 산출물, 기법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일부 서적에서는 개발방법론이라는 것 자체를 혐오하는 글도 본 적이 있다. 혐오의 이유는 개발방법론이 정해진 절차나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사람의 생각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한다. 어쨌든 개발방법론은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하나의 로드맵이다. 개발방법론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면 이미 많은 프로젝트에서 적용되고 성공이 어느 정도 검증된 것이므로 이를 참고하여 프로젝트가 처한 현실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하는 것은 나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개발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다. 작업절차 (단계.. 더보기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버튼` 편 경험이 없을 초창기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 하면서 난항을 겪는 부분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 중 한가지가 바로 '버튼의 크기'인데요. :) iOS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외지만, 대체로 디자인을 하다보면 새로 버튼을 디자인 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막상 예상치 못하게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가 있지요. 과연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의 크기는 어떻게 고려해야 할까요? 몇 가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살펴봅시다 (!) * 버튼의 크기는 모두 직접 측정하였으며, Shadow나 기타 Stroke에 외부 요인을 일부 배제하고 실질적인 버튼 영역만 계산하고자 하였습니다. 실질적인 개발과정을 고려해 치수를 대부분 짝수로 맞추고자 하였습니다. (!) + dpi 72의 640.. 더보기
비즈니스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궁극의 파워포인트 템플릿 10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 투자자나 클라이언트 앞에서 선보이는 프레젠테이션은 성공적인 사업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현대사회는 경쟁에 앞서 세련되고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청중을 놀라게 하는 프레젠테이션 자료인 파워포인트 템플릿은 그 쓰임새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그러한 이유로 기획자나 프로젝트 제안을 맡은 제안자 입장에서는 기획 또는 제안 내용을 한층 돋보이게 하고 차별화를 보여줄 수 있는 파워포인트 작업에 정성을 들이고 더불어 세련되고 깔끔하게 디자인된 완성형 파워포인트 템플릿을 구하는데 적잖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투자하기도 한다.프레젠테이션 자료에서 중구난방 정리되지 않은 또는 텍스트와 현란하기만 한 컬러 도표나 다이어그램의 남발은 청중(고객이나 투자자)에게 시각적 피로도 상승과 더불어.. 더보기
[Font] 본고딕(Source Han Sans) Adobe는 Google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오픈 소스 한중일 통합 서체 모음인 본고딕(Source Han Sans)을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이 서체 모음은 데스크탑용 Typekit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Typekit 계정이 없는 경우 계정을 만들어 Adobe의 무료 구독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본 소스 파일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는 SourceForge의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7가지 굵기로 제공되는 본고딕은 하나의 서체를 통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번체 및 중국어 간체를 모두 지원합니다. 또한 널리 사용되는 Source Sans 서체 모음의 라틴어, 그리스어 및 키릴 자모 글리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서체 모음 .. 더보기
웹 트렌드, 공간 활용과 심플함을 추구하는 까닭은? 최근 들어 웹(웹디자인)이 공간활용과 심플함에 집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 변화가 일어나는 까닭은 무엇인지 한번쯤 조명해 보고 정보 포화의 디지털 시대에 선택과 집중이 불러오는 기대효과를 가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본론으로 들어가 때로는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디자인 기법이 될 수 있다. 일종의 여백의 미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의도적일 수도 있다.공간(Space), 즉 여백은 여러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킷(Kit)의 가장 큰 도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것은 디자인의 특정 부분에 포커싱하게 만들고 전반적인 분위기를 변화시키기도 하며, 텍스트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여기서 우리는 공간(여백)의 훌륭한 활용사례를.. 더보기
왜 지금이 UX 디자이너가 되기 적합한 시기인가? 왜 지금이 UX 디자이너가 되기 적합한 시기인가? 근래 몇년 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은 웹 디자인 커뮤니티 사이에서 여러 성공 사례들을 토대로 큰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quotient.net 웹사이트에서의 UX 디자인이란? 사용자가 한 사이트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통틀어서 말하는데요, 다른 말로 하자면 사이트의 비주얼 레이아웃이라든지, 정보를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 구조, 유용성과 편리함, 그래픽, UI 등 모든 것을 커버 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UI 디자인과,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 인간-컴퓨터간의 상호대화)도 UX 디자인에 속해 있습니다. www.mogensense.com UX 디자인의 유래는 1.. 더보기
절대 지켜져야만 하는 UI 디자인의 7가지 법칙 당신은 웹 디자이너인가요? 만약 그러하다면 당신은 UI 디자이너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미래에는 오히려 그 UI 디자이너라는 호칭이 웹 디자이너라는 이름보다 더욱 중요해질지도 모릅니다.오늘날의 웹페이지들이 네비게이션과 메뉴 정도 만을 남긴 간단한 인터페이스라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앞으로 겪게 될 인터페이스는 아마 지금보다 더 유동적이고 개인에 최적화된 것들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피할 수 없이 받아들여야만 하는 이 흐름은, 우리가 UI 작업을 더욱더 세밀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 그럼 우리가 정확히 어떤 것들을 기억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확성의 법칙(Law of clarity)유저는 확실한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려 하지 않습니다... 더보기
[DB]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공학이란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결함이 없는 소프트웨어를 주어진 시간과 예산 범위내에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분야. 고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방법으로 '폭포수 모델'이다. 폭포수 모델은 마치 각각의 과정이 폭포수 처럼 흘러내리는 것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전적인 방법이라고 해서 나쁜 것은 아니다. 이보다 더 단순한 모델은 없으며, 중/소규모의 프로젝트에는 아직까지 매우 쓸만하다. 하지만 폭포수 모델은 매우 큰 단점이 존재한다. 전 단계들의 산출물에 현 단계가 너무 큰 영향받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요구사항 조사/분석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분석가가 제대로 얻어내지 못하면 프로젝트가 큰 어려움을 격게 된다.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존재한다. 장점 가장 오래.. 더보기
[DB] 집합적사고방식 집합적 사고방식은 우선 2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 그 2가지는 아래와 같다. SQL 작성시 집합적 사고방식 DB모델링시 집합적 사고방식 우선 SQL작성시 필요한 개념은 ‘2차원배열 단위로 처리된다고 생각’ 이다. 일반적인 C프로그래밍에서의 2차원 배열을 생각해보자.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형태(타일모양)으로 화면에 그려준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일단 이중 For문을 돌면서 배열의 데이터를 가져올 것이다. 아마도 머리속에서는 난리가 날 것이다. ‘일단 변수를 하나 만들어서 초기값을 세팅하고, 처음 For문의 루틴에서는 배열을 끝까지 돌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 ‘ 상당히 복잡하다. 그러면 SQL작성시는? 그냥 ‘A집합(Set, 2차원 배열의 데이터)을 보여줘’ 라고 하면 끝이다. 그렇다면 진짜.. 더보기
평면 감성 플랫 디자인, 트렌드가 아닌 이유? 평면 감성 플랫 디자인, 트렌드가 아닌 이유?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었던 플랫 디자인(flat design)은 트렌드가 아니다.올해 플랫 디자인(flat design)은 수많은 홍보와 함께 그 주변에서 만들어진 광고 효과 덕분인지 디자이너들에게 있어 아마도 가장 흔한 이슈가 되고 있는 듯합니다. 아니, 홍보라 하기보다는 우리의 대부분이 "사실상 플랫 디자인(flat design)은 트랜드(Trend)다"라고 생각하게 하는 디자인 커뮤니티에 의해 만들어진 '세뇌'라고 하는 편이 좋겠습니다.부끄럽지만 고백하건대, 필자 역시도 플랫 디자인이 트랜드 - 우리가 최근에 적용한 스타일 -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중의 하나였습니다. 사실 플랫 디자인은 스위스 스타일(Swiss Style : 참고1)을 거쳐, 프린트.. 더보기